원문
|
현대어 풀이
|
천상 백옥경(白玉京) 십이루(十二樓) 어듸매오
오색운 깁픈 곳의 자청전(紫淸殿)이 가려시니 천문(天門) 구만 리(九萬里)를 꿈이라도 갈동말동 차라리 싀여지여 억만(億萬) 번 변화하여 남산(南山) 늦즌 봄의 두견(杜鵑)의 넉시 되여 이화(梨花) 가디 우희 밤낫즐 못 울거든 삼청 동리(三淸洞裏)의 졈은 한널 구름 되여 바람의 흘리 날아 자미궁(紫微宮)의 날아 올라 옥황(玉皇) 향안전(香案前)의 지척(咫尺)의 나아 안자 흉중(胸中)의 싸힌 말삼 쓸커시 사로리라 어와, 이내 몸이 천지간(天地間)의 느저 나니 황하수(黃河水) 말다만난 초객(楚客)의 후신(後身)인가 상심(傷心)도 가이 업고 가태부(賈太傅)의 넉시런가 한숨은 무스 일고 형강(荊江)은 고향이라 십 년을 유락(流落)하니 백구(白鷗)와 버디 되여 함끠 놀자 하엿더니 어루난 듯 괴난 듯 남의 업슨 님을 만나 금화성(金華省) 백옥당(白玉堂)의 꿈이조차 향긔롭다 오색(五色)실 니음 졀너 님의 옷슬 못 하야도 바다 같은 님의 은(恩)을 추호(秋毫)나 갑프리라 백옥 같은 이내 마음 님 위하여 직희더니 장안(長安) 어제 밤의 무서리 섯거치니 일모수죽(日暮脩竹)의 취수(翠袖)도 냉박(冷薄)할샤 유란(幽蘭)을 것거 쥐고 님 겨신 데 바라보니 약수(弱水) 가리진 듸 구름 길이 머흐러라 다 서근 닭의 얼굴 첫 맛도 채 몰나셔 초췌(憔悴)한 이 얼굴이 님 그려 이러컨쟈 천층랑(千層浪) 한가온대 백척간(百尺竿)의 올나더니 무단한 양각풍(羊角風)이 환해중(宦海中)의 나리나니 억만 장 소희 빠져 하날 따흘 모롤노다 노(魯)나라 흐린 술희 한단(邯鄲)이 무슴 죄며 진인(秦人)이 취(醉)한 잔의 월인(越人)이 무음 탓고 성문(城門) 모딘 불의 옥석(玉石)이 함끠 타니 뜰 압희 심은 난(蘭)이 반(半)이나 이우레라 오동(梧桐) 졈은 비의 외기럭이 우러 녤 제 관산(關山) 만 리(萬里) 길이 눈의 암암 밟히난 듯 청련시(靑蓮詩) 고쳐 읇고 팔도 한을 슷쳐 보니 화산(華山)의 우난 새야 이별도 괴로왜라 망부산전(望夫山前)의 석양(夕陽)이 거의로다 기도로고 바라다가 안력(眼力)이 진(盡)톳던가 낙화(落花) 말이 업고 벽창(碧窓)이 어두으니 입 노른 삿기 새들 어이도 그리 건쟈 팔월 추풍(八月秋風)이 띠집을 거두으니 븬 긴의 싸인 알히 수화(水火)랄 못 면토다 생리사별(生離死別)을 한 몸의 혼자 맛다 삼천장(三千丈) 백발(白髮)이 일야(一夜)의 기도 길샤. 풍파(風波)의 헌 배 타고 함끠 노던 져뉴덜아. 강천(江天) 지난 해의 주즙(舟楫)이나 무양(無恙)한가 밀거니 혀거니 염예퇴(艶澦堆)랄 겨요 디나 만리붕정(萬里鵬程)을 멀리곰 견주더니 바람의 다브치여 흑룡강(黑龍江)의 떠러진 듯 천지(天地) 가이 업고 어안(魚雁)이 무정(無情)하니 옥(玉) 가탄 면목(面目)을 그리다가 말년지고 매화(梅花)나 보내고져 역로(驛路)랄 바라보니 옥량명월(玉樑明月)을 녜보던 낫비친 듯 양춘(陽春)을 언제 볼고 눈비랄 혼자 마자 벽해(碧海) 너븐 가의 넉시조차 흣터지니 내의 긴 소매랄 눌 위하여 적시난고 태상(太上) 칠위분이 옥진군자(玉眞君子) 명(命)이시니 천상(天上) 남루(南樓)의 생적(生笛)을 울니시며 지하(地下) 북풍(北風)의 사명(死命)을 벗기실가 죽기도 명(命)이요 살기도 하나리니 진채지액(陳蔡之厄)을 성인(聖人)도 못 면하며 누설비죄(縷絏非罪)랄 군자(君子)인들 어이 하리 오월비상(五月飛霜)이 눈물로 어릐난 듯 삼년대한(三年大旱)도 원기(冤氣)로 니뢰도다 초수남관(楚囚南冠)이 고금(古今)의 한둘이며 백발황상(白髮黃裳)의 셔룬 일도 하고 만타 건곤(乾坤)이 병(病)이 드러 혼돈(混沌)이 죽은 후(後)의 하날이 침음(沈吟)할 듯 관색성(貫索星)이 비취난 듯 고졍의국(孤情依國)의 원분(寃憤)만 싸혓시니 차라리 할마(瞎馬) 가치 눈 감고 지내고져 창창막막(蒼蒼漠漠)하야 못 미들산 조화(造化)일다 이러나 저러나 하날을 원망할가 도척(盜跖)도 셩히 놀고 백이(伯夷) 아사하니 동릉(東陵)이 놉픈 작가 수양(首陽)이 나즌 작가 남화(南華) 삼십편의 의론(議論)도 하도 할샤 남가(南柯)의 디난 꿈을 생각거든 슬므어라 고국송추(故國松楸)를 꿈의 가 만져 보고 선인(先人) 구묘(丘墓)를 깬 후(後)의 생각하니 구회간장(九回肝腸)이 굽의굽의 그쳐세라. 장해음운(瘴海陰雲)의 백주(白晝)의 흣터디니 호남(湖南) 어늬 고디 귀역의 연수런디 이매망량(魑魅魍魎)이 쓸커디 저즌 가의 백옥(白玉)은 므스 일로 청승(靑蠅)의 깃시 되고 북풍(北風)의 혼자 셔셔 가 업시 우난 뜻을 하날 가튼 우리 님이 젼혀 아니 살피시니 목란추국(木蘭秋菊)에 향기(香氣)로온 타시런가. 첩여(婕妤) 소군(昭君)이 박명(薄命)한 몸이런가. 군은(君恩)이 믈이 되여 흘너가도 자최 업고 옥안(玉顔)이 꽃이로되 눈믈 가려 못 볼로다 이 몸이 녹아져도 옥황상제(玉皇上帝) 처분(處分)이요 이 몸이 싀여져도 옥황상제(玉皇上帝) 처분(處分)이라 노가디고 싀어지여 혼백(魂魄)조차 흣터지고 공산(空山) 촉루(髑髏) 가치 님자 업시 구니다가 곤륜산(崑崙山) 제일봉(弟一峯)의 만장송(萬丈松)이 되어 이셔 바람 비 쁘린 소리 님의 귀예 들니기나 윤회 만겁(輪回萬怯)하여 금강산(金剛山) 학(鶴)이 되어 일만(一萬) 이천봉(二千峯)의 마음것 소사 올나 가을 달 발근 밤의 두어 소리 슬피 우러 님의 귀의 들리기도 옥황상제(玉皇上帝) 처분(處分)일다 한이 뿔희 되고 눈물로 가디 삼아 님의 집 창 밧긔 외나모 매화(梅花) 되어 설중(雪中)의 혼자 픠여 침변(枕邊)의 이위난 듯 월중 소영(月中疎影)이 님의 옷의 빗취어든 어엿븐 이 얼굴을 네로다 반기실가 동풍(東風)이 유정(有情)하여 암향(暗香)을 블어 올려 고결(高潔)한 이내 생계 죽림(竹林)의나 부치고져 빈 낙대 빗기 들고 뷘 배 혼자 띄워 백구(白溝) 건네 저어 건덕궁(乾德宮)의 가고 지고 그려도 한 마음은 위궐(魏闕)의 달녀 이셔 내 무든 누역 속의 님 향한 꿈을 깨여 일편 장안(一片長安)을 일하(日下)의 바라보고 외오 굿겨 올히 굿겨 이 몸의 타실넌가 이 몸이 전혀 몰라 천도(天道) 막막(漠漠)하니 물을 길이 젼혀 업다 복희씨(伏羲氏) 육십사괘(六十四卦) 천지 만물(天地萬物) 상긴 뜻을 주공(周公)을 꿈의 뵈와 자시이 뭇잡고져 하날이 놉고 놉하 말 업시 놉흔 뜻을 구룸 우희 나난 새야 네 아니 아돗더냐 어와 이 내 가삼 산(山)이 되고 돌이 되여 어듸 어듸 사혀시며 비 되고 믈이 되여 어듸 어듸 우러 녤고 아모나 이 내 뜻 알니 곳 이시면 백세 교유(百歲交遊) 만세 상감(萬世相感) 하리라. |
천상 백옥경 십이루가 어디인가
오색 구름 깊은 곳에 자청전이 가려 있으니 구만 리 먼 하늘을 꿈에서조차 갈동말동하구나. 차라리 죽어서 억 만 번 변화하여 남산 늦은 봄에 두견새의 넋이 되어 배꽃 가지 위에 밤낮으로 울지 못하거든 삼청 동리 저문 하늘에 구름이 되어 바람에 흐르듯 날아 자미궁에 날아올라 옥황 향안 전에 가까이 나가 앉아 흉중에 쌓인 말씀 실컷 아뢰리라. 아아 이내 몸이 천지간에 늦게 태어나니 황하 물이 맑다마는 초나라 사람 굴원의 후신인가. 상심도 끝이 없어 가태부의 넋이런가. 한숨이 나오는 것은 또 무슨 일인가. 형강은 고향이라 십 년을 유락하니 백구와 벗이 되어 함께 놀자 하였더니 아양 떠는 듯 사랑하는 듯 남 없는 임을 만나 금화성 백옥당의 꿈조차 향기롭다. 오색실 이음이 짧아 임의 옷을 만들지 못하여도 바다 같은 임의 은혜 조금이나마 갚으리라. 백옥 같은 순결한 내 마음 임 위하여 지키고 있었더니 장안 어젯밤에 무서리 섞어 치니 일모수죽에 옷소매도 차디차구나. 난초를 꺾어 쥐고 임 계신 데 바라보니 약수 가로놓인 데 구름길도 험하구나. 다 썩은 닭의 얼굴 첫맛도 채 몰라서 초췌한 이 얼굴이 임 그리워 이리 되었구나. 높은 파도 한가운데 백척간두 같은 벼슬에 올랐더니 무단한 회오리바람이 환해 중에 불어와 억 만장 깊은 연못에 빠져 하늘인지 땅인지 모르겠노라. 노나라의 술이 흐린 것과 한단이 무슨 관계가 있으며 진나라 사람이 술에 취한 것은 월나라 사람이 웃은 탓이란 말인가? 성문 모진 불에 옥석이 함께 타니 뜰 앞에 심은 난이 반이나 시들었구나. 오동나무 저문 비에 외기러기 울며 갈 때 관산으로 가는 만 리 길이 눈에 선하니 밟히는 듯 이백의 시를 다시 읊고 팔도의 한을 스쳐보니 화산에 우는 새야 이별도 괴로워라. 망부산 앞에 석양이 거의 지는구나. 기다리고 바라다가 시력이 다했던가? 떨어지는 꽃은 말이 없고 푸른 비단 창문은 어두우니 입 노란 새끼 새들이 어미를 그리는구나. 팔월 추풍이 초가지붕을 뒤집어엎으니 빈 새집에 싸인 알이 횡액을 면하지 못하도다. 생리사별의 아픔을 한 몸에 혼자 맡아 삼천 장 백발이 하루밤 사이에 길기도 길어졌구나. 풍파에 헌 배 타고 함께 놀던 저 무리들아 강천 지는 해에 주즙이나 무고한가. 밀거니 당기거니 염예퇴를 겨우 지나 만 리 붕정을 멀리 견주더니 바람에 다 부치어 흑룡강에 떨어진 듯 천지는 끝이 없고 어안이 무정하니 옥 같은 면목을 그리다가 말려하는가. 매화나 보내고자 역로를 바라보니 들보에 비치는 달빛은 옛 보던 낯빛인 듯 양춘을 언제 볼까. 눈비를 혼자 맞아 넓고 푸른 바닷가에 넋조차 흩어지니 나의 긴 소매를 누굴 위하여 적시는고. 태상 칠위분이 옥진군자의 명령이시니 천상 남루에 생적을 울리시며 지하 북풍의 사명을 벗기실까. 죽기도 운명이요 살기도 하늘의 운명이니 진채지액을 성인도 못 면한다는데 누설비죄를 군자인들 어이하리. 오월에 날리는 서리가 눈물로 어리는 듯 삼 년 큰 가뭄도 원기로 되었도다. 죄 없이 옥에 갇힌 죄수가 고금에 한둘이며 백발황상에 서러운 일도 많고 많다. 건곤이 병이 들어 혼돈이 죽은 후에 하늘이 침음할 듯 관색성이 비취는 듯 고정의국에 원분만 쌓였으니 차라리 눈 먼 말같이 눈 감고 지내고저 멀고도 막막하여 못 믿을 것은 조화로다 이러나저러나 하늘을 원망할까. 도척도 성하고 백이도 굶어죽으니 동릉이 높은 걸까 수양산이 낮은 걸까 남화 삼십 편에 의론도 많기도 많구나. 남가의 지난 꿈을 생각거든 싫고 미워라. 고국 송추를 꿈에 가서 만져 보고 선인 구묘를 깬 후에 생각하니 구회간장이 굽이굽이 끊어졌구나. 장해음운에 백주에 흩어지니 호남 어느 곳이 귀역의 연수런지 이매망량이 실컷 젖은 가에 백옥은 무슨 일로 쉬파리의 보금자리가 되고 북풍에 혼자 서서 한없이 우는 뜻을 하늘같은 우리 님이 전혀 아니 살피시니 목란추국에 향기로운 탓이런가. 반첩여와 왕소군이 박명한 몸이런가. 임금의 은혜가 물이 되어 흘러가도 자취 없고 옥안이 꽃이로되 눈물 가려 못 보겠구나. 이 몸이 녹아져도 옥황상제 처분이요, 이 몸이 죽어져도 옥황상제 처분이라. 녹아지고 죽어지어 혼백조차 흩어지고 공산 촉루같이 임자 없이 굴러다니다가 곤륜산 제일봉에 만장송이 되어 있어 바람 비 뿌린 소리가 임의 귀에 들리거나, 만겁이나 윤회를 하여 금강산 학이 되어 일만 이천 봉에 마음껏 솟아올라 가을 달 밝은 밤에 두어 소리 슬피 울어 임의 귀에 들리기도 옥황상제 처분이겠구나. 한이 뿌리 되고 눈물로 가지삼아 임의 집 창 밖에 외나무 매화 되어 설중에 혼자 피어 침변에 시드는 듯, 달빛 속의 희미한 그림자가 임의 옷에 비취거든 불쌍한 이 얼굴을 너로구나 반기실까. 동풍이 유정하여 암향을 불어 올려 고결한 이내 생계 죽림에나 부치고 싶구나. 빈 낚싯대 비껴들고 빈 배를 혼자 띄워 백구 건너 저어 건덕궁에 가고 지고. 그래도 한 마음은 위궐에 달려 있어 내 묻은 누역 속에 임 향한 꿈을 깨어 일편장안을 한눈에 바라보고 그르거나 옳게 머뭇거리는 것이 모두 이 몸의 탓이런가. 이 몸이 전혀 몰라 천도가 막막하니 물을 길이 전혀 없다. 복희씨 육십사괘 천지 만물 생긴 뜻을 주공을 꿈에 뵈어 자세히 여쭙고 싶구나. 하늘이 높고 높아 말없이 높은 뜻을 구름 위에 나는 새야 네 아니 알겠더냐. 아! 이내 가슴 산이 되고 돌이 되어 어디어디 쌓였으며 비가 되고 물이 되어 어디어디 울며 갈까. 아무나 이내 뜻을 알 사람이 있으면 백세교유 만세상감하리라. |
'23수능 국어 EBS > 고전시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산십이곡>, 이황 (0) | 2022.09.28 |
---|---|
<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 맹사성 (0) | 2022.09.18 |
<면앙정가>, 송순 (0) | 2022.09.11 |
<사미인곡>, 정철 (0) | 2022.09.11 |
<상춘곡>, 정극인 (0) | 2022.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