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8

사인 법칙, 코사인 법칙, 삼각형의 넓이, 직각삼각형 삼각비, 사각형의 넓이

2R = a/sinA = b/sinB = c/sinC sinA = a/2R a = 2R·sinA a = c·cosB + b·cosC a² = b² + c² - 2bc·cosA cosA = ( b² + c² - a² ) / 2bc S = 1/2 · b · c · sinA = 1/2 · b · c · a/2R = abc / 4R = 1/2 · 2R·sinB · 2R·sinC · sinA = 2R² · sinA · sinB · sinC 제일 긴 부분이 빗변입니다. 피타고라스의 법칙으로 확인 가능. 1 : 1 : √2 1: √3 : 2 3 : 4 : 5 5 : 12 : 13 □ = 1/2 · 대각선1 · 대각선2 · sinθ □ = 1/2 · 높이 · ( 밑변 + 윗변 )

22수능/수학 2021.07.15

x축에 접하는 이차함수

x축에 접하는 이차함수는 "완전제곱식"이다! y = (x - a)² 곡선이 x축에 접하는 것은 방정식이 0이 되게 하는 x값은 하나라는 뜻. (D=0, 중근을 가진다. 접한다.) 그래서 완전제곱식의 형태다. 이차함수의 기본 형태는 ax² + bx + c a가 양수면 u자고, a가 음수면 n자다. ax² + bx + c = 0 일때, 판별식(D) = b² - 4ac 판별식이 0보다 크면, 실근이 2개. 두점에서 만난다. 판별식이 0보다 작으면, 허근. 만나지 않는다. (붕 떠있다)

22수능/수학 2021.07.08

[출제의도] 아보가드로수와 분자량 이해하기

표는 4가지 분자에 대한 자료이다. (음수 지수를 역수로 표현함) 분자 H2 CH4 CO2 HCHO 분자 1개의 질량(g) 1/3 × 1/10²³ x 분자량 2 16 44 y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보기 ]-------------------------------------------- ㄱ. 아보가드로수는 6 × 10²³이다. ㄴ. x = 8/3 × 1/10²³이다. ㄷ. y = 30이다. ----------------------------------------------------------- ㄱ. H2 분자량이 2이므로, 1몰의 질량은 2g이다. H2의 질량 = (1/3 × 1/10²³) × 아보가드로수 = 2g ∴ 아보가드로수 = 6 × 10²³ ㄴ...

기체의 성질 문제

표는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 (가)~(다)에 대한 자료이다. (가)~(다)에 각각 포함된 수소 원자의 전체 질량은 같다. * 필기 1 : 전체 원자수 = 몰수 * 1분자에 포함된 원자 개수 * 필기 2 :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기체의 부피는 기체의 몰수에 비례한다. (가)~(다)에 각각 포함된 수소 원자의 전체 질량은 같으므로, 전체 H 원자수 = (분자의 몰수)×(1분자에 포함된 H 원자 개수)가 같아야 한다. (나)의 분자의 몰수는 1/2몰, ∴ 전체 H 원자수 = 1/2 * 4 = 2몰 (가)도 역시 전체 H 원자수(분자의 몰수×2)가 2몰이 돼야 하는데, ∴ H2의 분자의 몰수는 1이다. (다) 또한 전체 H 원자수(분자의 몰수×3)가 2몰이 돼야 하는데, ∴ NH3 분자의 몰수는 2/3..

기체의 질량, 부피 => 분자량, 원자수 비교

그림은 실린더에 들어 있는 3가지 기체의 질량과 부피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X~Z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고, 기체의 온도와 압력은 같다.) -----[ 보기 ]--------------------------------------------------- ㄱ. 분자량은 XY2가 Z2Y보다 크다. ㄴ. 원자량의 비는 X : Z = 12 : 1이다. ㄷ. 단위 부피당 원자 수비는 Z2Y : XZ4 = 3 : 5이다. ------------------------------------------------------------------ (풀이) XY2 Z2Y XZ4 질량 (w) 11 9 12 분자 몰수 (n) 1 2 3 분자량 (M) 22 9 8 ㄱ...

질량, 부피의 관계 그래프 (원자량, 원자수 유추)

그림은 t℃, 1기압에서 기체 (가)와 (나)의 부피와 질량을 나타낸 것이다. (가)와 (나)는 각각 A2 또는 BA2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와 B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 보기 ]--------------------------------------------------- ㄱ. (가)는 A2이다. ㄴ. 원자량은 B가 A보다 크다. ㄷ. wg에 들어 있는 A원자 수는 (가)와 (나)에서 같다. ------------------------------------------------------------------ * 필기1 : 같은 질량일때, 분자량이 크면 몰수가 작다. ( n ∝ 1/M ) * 필기2 : 분자수는 부피와 비례한다. ..

분자량, 질량, 부피, 밀도 구하기

표는 t℃, 1기압에서 기체 A, 기체 B, 메탄올(CH3OH)에 대한 자료이다. (단, t℃, 1기압에서 메탄올은 액체 상태이며, 기체 1몰의 부피는 30L 이다.) 구분 분자량 질량 부피 밀도 기체 A ㉠ ㉡ 15L 1.8g/L 기체 B ㉢ 24g ㉣ 2.4g/L 메탄올(CH3OH) 32 16g ㉤ 0.8g/L * 필기1 : 분자량은 1몰에 대한 량 * 필기2 : 기체A는 부피 15L이므로, 1/2몰 * 필기3 : 기체B는 부피 10L이므로, 1/3몰 * 필기4 : 메탄올의 질량이 분자량의 반이므로, 1/2몰 * 필기5 : 분자수는 부피와 비례한다. ( V ∝ n ) * 필기6 : 분자량은 밀도와 비례한다. ( d ∝ M ) ㉠ = 27/0.5 = 27 * 2/1 = 54 ( 1L : 1.8g = 3..